학교 가는 길!!

오늘도 인생을 배우러 학교 간다.. 아~ 가는 길이다!

오늘도 배우러 가는 길~!

직장 정보

2025년 교육공무직원 평균임금과 통상임금, 무엇이 다를까?

schoolplus 2025. 3. 31. 00:20
728x90
SMALL

교육공무직원 급여 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!
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은 퇴직금 산정이나 수당 계산 등 다양한 실무에 활용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. 그러나 두 용어의 정의와 차이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교육공무직원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개념, 활용처, 차이점을 쉽고 명확하게 설명드립니다.


1. 평균임금이란?

평균임금은 퇴직금, 휴업수당, 재해보상 등 노동관계법상 특정 수당 산정 시 사용되는 임금 기준입니다.

  • 산정 방식:
    직전 3개월간 총임금 ÷ 그 기간의 총일수
    → 2025년 기준 동일 방식 적용
  • 활용 사례:
    • 퇴직금 산정
    • 휴업수당 지급
    • 산업재해 보상금 산정


2. 통상임금이란?

통상임금은 연장근로, 야간근로, 휴일근로 등 가산수당과 무급 공제 산정의 기준이 되는 임금입니다.

  • 산정 기준:
    고정적·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임금만 포함
  • 2025년 경기도교육청 기준 포함 항목:
    • 기본급
    • 직무관련수당
    • 정액급식비
    • 근속수당
    • 정기상여금
    • 명절휴가비
  • 활용 사례:
    • 연장근로수당, 야간근로수당
    • 휴일근로수당
    • 결근, 병가, 무급휴가 시 임금 공제 기준


3. 평균임금 vs 통상임금, 핵심 차이 정리

구분 평균임금 통상임금
산정 기준 최근 3개월간 총임금 ÷ 총일수 고정적·정기적 지급항목만 포함
용도 퇴직금, 휴업수당, 재해보상 등 연장·야간·휴일 수당, 임금 공제 등
포함 항목 모든 임금 항목 기본급 + 지속적 수당 중심
실무 활용 퇴직자 발생 시 평균임금 산정 수당 계산 및 월급 공제 기준

4.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팁 (2025년 기준)

  • 통상임금 공제는 언제?
    → 결근, 무급휴가, 병가 등 발생 시 적용
  • 공제 방식:
    통상임금 × 무급 일수
  •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
    → 주 소정근로시간 기준으로 비례 산정

💡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을 정확히 이해하면, 퇴직 정산이나 수당 지급에서 실수를 줄이고 신뢰도 있는 급여 관리가 가능합니다.

자료 출처:
2025년도 경기도교육청 교육공무직원 임금 지급기준 변경안,
교육공무직원 운영지침

#교육공무직 평균임금 #교육공무직 통상임금 #평균임금 #통상임금

728x90
LIST